헌법상 재산권 보장과 공공복리
📌 헌법 제23조 요약
① 모든 국민의 재산권은 보장된다.
단, 그 내용과 한계는 법률로 정한다.
② 재산권의 행사는 공공복리에 적합해야 한다.
③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·사용·제한은
정당한 보상을 지급해야 하며,
그 보상은 법률에 따라 정당한 절차에 따라야 한다.
🧩 핵심 개념 설명
✅ 재산권 보장
- 국민이 자신의 재산을 자유롭게 사용하고
처분할 수 있는 기본권적 성격 - 국가와 타인으로부터 보호받을 사적 권리의 핵심
✅ 공공복리의 원칙
- 재산권이 무한정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,
공익(공공의 이익)을 위해 일정한 제한 가능 - 이는 환경보호, 도시계획, 안전규제 등
공공 필요에 따라 정당화됨
✅ 정당한 보상
- 재산권이 수용·제한될 경우
반드시 실질적 피해에 대한 보상이 필요 - 단순 시장가치뿐 아니라,
생활권·기회손실 등도 고려 가능함
⚖️ 관련 판례 포인트
- “공공복리에 의한 제한은 법률에 근거해야 하며,
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지 않아야 한다” - 즉, 필요한 최소한의 제한이어야 하며,
그 제한이 지나치면 헌법에 위배됨
💬 요약 정리
구분내용
재산권 | 헌법상 기본권, 사유재산 보호 |
제한 가능성 | 공공복리에 따라 제한 가능 (법률 필요) |
보상 | 수용·제한 시 정당한 보상 필수 |
핵심 원칙 | 과잉금지, 법률근거, 보상정당성 |
'365 누구나 필요한 법률 방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블로그 평등권(차별금지) 관련 헌법 규정 (0) | 2025.04.24 |
---|---|
블로그 행복추구권: 헌법 해석과 적용 사례 (0) | 2025.04.23 |
블로그 공무 담임권(公務擔任權): 국민의 공적 참여 권리 (0) | 2025.04.21 |
블로그 청원권과 국민의 권리 (1) | 2025.04.19 |
블로그 탄핵 제도와 적용 요건 (0) | 2025.04.18 |